사이안화수소가 알데하이드와 케톤의 카보닐기에 첨가되는 반응은 가역반응으로 사이아노하이드린을 생성한다. 이 화합물은 같은 탄소에 하이드록시기와 사이아노기가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염기 촉매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사이안화수소의 탄소에는 비공유전자쌍이 없으므로 탄소 친핵체의 역할을 할 수 없다. 그러나 염기 촉매 하에서는 사이안화수소가 사이안화 이온으로 전환되므로 탄소 친핵체로 작용할 수 있다.
사이아노하이드린의 화학은 코루구타 곤충류의 방어 시스템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노래기는 딱정벌레가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2개의 방으로 된 샘으로부터 사이안화수소를 분비한다. 노래기는 벤즈알데하이드 사이아노하이드린을 저장하고 있다가 위협을 받게 되면 벤즈알데하이드와 사이안화수소로 분해하여 분비한다.
암모니아나 아민, 그리고 그 유도체는 질소 원자에 비공유전자쌍이 있으므로 카보닐 탄소 원자에 대해서 질소 친핵체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1차 아민은 다음과 같이 반응한다. 첫 단계에서 생성되는 정사면체 화합물은 헤미아세탈과 유사하지만, 산소 원자 하나가 NH기로 바뀌어 있다. 이 첨가반응 생성물은 보통은 안정하지 않는데, 물이 제거되면서 탄소와 질소의 이중결합을 가진 생성물이 형성된다. 1차 아민과 반응하여 물 분자를 잃으면 이민을 생성한다.
이민은 카보닐 화합물과 유사하지만 산소와 NR로 바뀌어 있다. 이민은 생화학반응에서 중요한 중간체인데, 특히 카보닐 화합물은 대부분의 효소에 존재하는 자유 아미노기와 결합하는 반응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면 레티날은 단백질인 옵신과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하여 로돕신을 형성한다.
NH2기를 가지고 있는 암모니아 유도체는 1차 아민과 유사하게 카보닐 화합물과 반응하는데, 이들 반응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질소의 두 수소와 카보닐기의 산소가 제거되면서 물이 빠진다는 것에 주목하라.
알데하이드와 케톤은 각각 1차와 2차 알코올로 쉽게 환원된다. 환원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일어나며, 가장 흔히 사용되는 시약으로 금속수소화물이 있다. 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제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금속수소화물은 수소화알루미늄리튬과 수소화붕소소듐이 있다. 금속 수소화물은 금속 양이온과 수소 음이온으로 편극화되어 있으므로 수소 이온이 카보닐기를 공격하며, 이 반응은 비가역적으로 일어난다.
'일상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하는 분자들의 활동 (0) | 2020.05.27 |
---|---|
잡다한 화합물이 생기는 이유 (0) | 2020.05.22 |
먹지 못하는 알코올이란 (0) | 2020.05.14 |
치환반응의 원리와 메카니즘 (0) | 2020.05.12 |
순서가 뒤바뀐 무지개 (0) | 2020.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