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31건

  1. 2020.07.09 2포인트 오를때마다
  2. 2020.07.07 로스쿨에 입학한 학생이 받아든 이것
  3. 2020.07.06 이자율과 대출

미국에서 발행되는 채권은 일년에 두번 이자를 지급하고 있다. 따라서 연 14%의 쿠폰율의 정규채권 소유자는 매년 총 140달러의 이자를 받게 된다. 그러나 이 140달러는 70달러씩 두 번 지급된다. 이 채권을 살펴보자. 만기수익률은 16%이다.

 

채권수익률은 APR같이 표시되어 기간당 실제이자율에 기간의 횟수를 곱한 것과 같다. 이 경우 16%의 표시수익률로 반기마다 지급할 때 실제수익률은 6개월마다 8%이다. 채권의 만기가 7년이라고 할 때 이 채권의 가격은 얼마인가? 이 채권의 연간 실효수익률은 얼마인가? 앞에서 본 바와 같이 매 6개월마다 시장이 8%를 요구할 때 이 채권의 쿠폰율은 매 6개월마다 7%이므로 이 채권은 할인되어 거래될 것이다.

 

 

따라서 답이 1,000달러보다 많은 액수가 나온다면 계산이 틀린것이다. 정확한 가격을 알기 위해 먼저 7년 후에 지급되는 채권의 액면가 1,000달러의 현재가치를 계산한다. 7년 동안 6개월이 14번 있다. 매기간 8%에 그 가치를 계산하면 340달러이다. 쿠폰은 기간마다 70달러를 14번 지급하는 연금으로 볼 수 있다. 8%의 할인율을 적용하면 연금의 현재가치는 577달러이다.

 

여기서 현재가치 총액은 채권의 거래가격으로 917달러이다. 이 채권의 실효수익률을 계산하기 위해 반기마다 8%의 이자를 지급하는 경우와 같음을 감안하면 16.64% 가 된다.

'일상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류를 좀 더 자세히 살펴봐야한다.  (1) 2020.07.14
액면가가 싼 채권  (0) 2020.07.13
로스쿨에 입학한 학생이 받아든 이것  (0) 2020.07.07
이자율과 대출  (0) 2020.07.06
이자율 계산 잘해야 한다.  (0) 2020.06.28
Posted by 자유와진실 :

최근 로스쿨의 한 졸업생은 학자금 대출 상환 방식을 달리했다. 그의 학자금 대출은 총 10만 9천 달러이며 10년 동안 매달 1,200달러씩 갚아야 했다. 그가 선택한 방법은 대출금을 한꺼번에 묶어서 30년까지 연장시키는 것이었다. 그래서 월 상환액을 약 640달러로 줄였다. 시카고의 한 부부는 세번째 방법을 택했다. 남편과 부인 둘 다 의사이다. 

 

 

 

 

남편이 전문의 실습기간의 마지막 해를 끝내고 있는 반면 부인은 전문의 실습기간을 마치고 풀타임으로 일하고 있다. 이 부부에게 가장 특별한 점은 학자금대출의 금액이다. 부인의 학자금대출 잔액은 23만 4천 달러이고, 남편의 학자금대출 잔액은 31만 달러이며, 이 부부는 15만 6천 달러의 주택담보대출을 받았다.

 

부인의 학자금대출의 상환은 벌써 시작되어 매달 1,750달러를 지불한다. 그렇다면 이 부부는 어떻게 대처했을까? 그들은 부인의 학자금대출 상환으로 매달 2,250달러를 지불하고 있어 상환기간이 22년에서 13년으로 줄어들 것이다. 부부는 또한 1,500달러의 주택담보대출 상환에 월 100달러의 추가적인 상환을 하고 있다. 다행히 남편의 실습기간이 끝나면 연봉이 세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일상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액면가가 싼 채권  (0) 2020.07.13
2포인트 오를때마다  (0) 2020.07.09
이자율과 대출  (0) 2020.07.06
이자율 계산 잘해야 한다.  (0) 2020.06.28
벤치마크를 어디에서 해야할까?  (0) 2020.06.25
Posted by 자유와진실 :

이자율과 대출

2020. 7. 6. 20:47 from 일상라이프

가끔 이자율이 실효연이율인지 아닌지 명확하지 않다. 대출에서 APR이라고 불리는 이자율이 그 경우이다. 미국의 대출진실법은 모든 가계대출에 대하여 대출자가 APR을 밝히도록 하고 있다. APR은 대출문서에 눈에 띄게 명확히 표시되어야만 한다.

 

APR이 계산되어야 하고 표시되어야 한다면 당연한 질문은 다음과 같다. APR은 실효연이율인가? 다시 말하면 한 은행이 자동차 대출에 대하여 APR로 12%를 제시한다면 소비자는 실제로 12%의 이자를 지급하는 것인가? 놀랍게도 아니다. 이점에 대해서 혼란이 있을 수 있는데 다음에서 알아보자.

 

 

 

APR에 대한 혼란이 생기는 것은 대출자가 특별한 방법으로 APR을 계산하도록 법으로 요구하기 때문이다. 법에 의하면 APR은 단순히 기간당 이자율에 일년에 그 기간이 몇번이 있었는지 구하여 그 횟수만큼을 곱한 것과 같다. 예를 들어 한 은행이 자동차 대출에 대하여 월 1.2%의 이자를 부과한다면 APR은 1.2%X12=14.4%가 된다. 따라서 APR은 그 동안 논의한 바에 의하면 사실상 표시이자율이다.

 

예를 들어 매달 지급하는 대출금에 12%의 APR이 적용되면 실제로는 월 1%가 된다. 따라서 이 대출금에 대한 실효연이율은 12.6825% 이다.

'일상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포인트 오를때마다  (0) 2020.07.09
로스쿨에 입학한 학생이 받아든 이것  (0) 2020.07.07
이자율 계산 잘해야 한다.  (0) 2020.06.28
벤치마크를 어디에서 해야할까?  (0) 2020.06.25
회수해야 할 돈  (0) 2020.06.23
Posted by 자유와진실 :